728x90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가 어떠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할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기억장치는 데이터, 연산 중간결과 , 프로그램 등 일시적 or 영구적 저장장치입니다. 기억장치는 기억용량  , 접근속도 , 용도 등에 따라 레지스터 캐시메모리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나뉩니다.

그 종류는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분류될수있습니다.


레지스터 : 비트, 바이트, 기계어와 같은 지정된 기억 용량을 가지며, 통상 특정한 목적에 쓰이는 기억 장치. 1개의 플립플롭은 0이냐 1이냐 하는 1비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다. 8개 사용하면 8비트, 16개 사용하면 16비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 레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 하나의 레지스터의 기억 용량을 레지스터 길이라 한다. 자리 보내기를 할 수 있는 레지스터를 시프트 레지스터,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레지스터이며 누승기, 지표 레지스터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범용 레지스터라 한다.


  - 캐시 메모리 :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때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기억 용량은 작지만 접근 시간이 주기억장치보다 5 ~ 10배 정도 빠릅니다.


  - 주기억장치 :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장치입니다.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보다 기억 용량이 큽니다.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에 비해 접근 시간은 느리지만 기억 용량이 큽니다. 접근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약 1,000배 정도 느립니다.



​  당연히 이러한 기억장치들은 읽고 쓰는 속도에 비례하여 가격이 올라갑니다. 이러한 이유로 중앙처리장치에 직접 연결된 기억장치에는 기억 용량이 작고 속도가 빠른 장치를 사용하고, 보조기억장치에는 속도는 느리지만 가격이 저려하고 기억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기억장치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것입니다.


많을수록, 빠를수록 좋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 RAM ]

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CPU(중앙처리장치)는 연산 작업, 보조기억장치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조기억장치로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CD, DVD, 플로피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는 대개 HDD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대부분의 작업은 HDD에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CPU가 이를 연산 처리하여 출력장치(모니터 등)로 그 결과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램 [RAM] - 많을수록, 빠를수록 좋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728x90
728x90

HTML 서식 요소

 

 

이전 장에서는 HTML 스타일 속성 에 대해 배웠습니다 .

HTML은 또한 특별한 의미로 텍스트를 정의하기위한 특수 요소 를 정의합니다 .

HTML과 같은 요소 사용 <b>과 <i>같은 출력 서식을 굵게 또는 기울임 꼴 텍스트를.

서식 요소는 특수한 유형의 텍스트를 표시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b> - 굵은 텍스트
  • <strong> -중요한 텍스트
  • <i> -이탤릭체
  • <em> -강조된 텍스트
  • <mark> -표시된 텍스트
  • <small> -작은 텍스트
  • <del> -삭제 된 텍스트
  • <ins> -삽입 된 텍스트
  • <sub> -첨자 텍스트
  • <sup> -위첨자 텍스트

 

HTML 텍스트 서식 요소

TagDescription

<b> Defines bold text
<em> Defines emphasized text 
<i> Defines italic text
<small> Defines smaller text
<strong> Defines important text
<sub> Defines subscripted text
<sup> Defines superscripted text
<ins> Defines inserted text
<del> Defines deleted text
<mark> Defines marked/highlighted text
728x90
728x90
1
2
3
4
5
6
7
8
9
10
11
12
<!DOCTYPE html>
<html>
<body>
 
<p>I am normal</p>
<p style="color:red;">I am red</p>
<p style="color:blue;">I am blue</p>
<p style="font-size:50px;">I am big</p>
 
</body>
</html>
 
cs

 

실행결과

 

 

 

●  HTML 스타일 속성

HTML 요소의 스타일 설정은 style속성 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HTML style속성의 문법 은 다음과 같습니다.

 

<tagname style="property:value;"

 

 

● 배경색

CSS background-color속성은 HTML 요소의 배경색을 정의합니다.

이 예제는 페이지의 배경색을 blue로 설정합니다.

 

1
2
3
4
5
6
<body style="background-color:powderblue;">
 
<h1>This is a heading</h1>
<p>This is a paragraph.</p>
 
</body>
cs

 

실행결과

 

 

 

● 글자 색

 

1
2
<h1 style="color:blue;">This is a heading</h1>
<p style="color:red;">This is a paragraph.</p>
 

 

실행결과

 

 

 

●텍스트 정렬

CSS text-align속성은 HTML 요소의 가로 텍스트 정렬을 정의합니다.

 

1
2
<h1 style="text-align:center;">Centered Heading</h1>
<p style="text-align:center;">Centered paragraph.</p>
 

 

728x90
728x90

HTML 속성

 

  • 모든 HTML 요소는 속성 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속성 은 요소에 대한 추가 정보  제공합니다
  • 속성은 항상 시작 태그에 지정됩니다
  • 속성은 일반적으로 name = "value" 와 같은 이름 / 값 쌍으로 제공됩니다.

href 속성

HTML 링크는 <a>태그 로 정의됩니다 . 링크 주소는 href속성 지정되어 있습니다 .

<a href="https://www.w3schools.com">This is a link</a>

 

src 속성

HTML 이미지는 <img>태그 로 정의됩니다 .

이미지 소스의 파일 이름은 src속성에 지정되어 있습니다 .

 

<img src="img_girl.jpg">

 

width height너비와 높이 속성

 HTML 이미지도 가지고 width와 height이미지의 폭과 높이를 지정하는 속성 

<img src="img_girl.jpg" width="500" height="600">

 

 

alt대체 속성 

 alt속성은 이미지를 표시 할 수없는 경우 사용할 대체 텍스트를 지정합니다.

alt화면 판독기  속성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각 장애가있는 사람과 같이 웹 페이지를 "듣는"누군가가 그 요소를 "듣게"할 수 있습니다.

 

<img src="img_girl.jpg" alt="Girl with a jacket">

 

추가) h1보다 더큰 제목 

1
2
3
4
5
6
7
8
9
10
<!DOCTYPE html>
<html>
<body>
 
<h1 style="font-size:60px;">h1 </h1>
 
<h1> h1</h1>
 
</body>
</html>
cs

 

 

h1 태그에 style이라는 속성을넣어 글자의 크기를 변경할수있음 

이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HTML <pre> 요소

HTML <pre>요소는 사전 형식화 된 텍스트를 정의합니다.

<pre>요소 내부의 텍스트 는 고정 너비 글꼴 (일반적으로 Courier)로 표시되며 공백과 줄 바꿈을 모두 유지합니다.

 

728x90
728x90

●HTML 요소(html elements)

 

 

 

HTML 요소는 일반적으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구성되며 내용은 다음 사이에 삽입됩니다.

< tagname > ~~~~~  < / tagname >

HTML 요소 는 시작 태그에서 종료 태그까지의 모든 것입니다.

 

 

※내용이없는 HTML 요소를 빈 요소라고합니다. 빈 요소에는 <br> 요소 (줄 바꿈을 나타냄)와 같은 종료 태그가 없습니다.※

 

●중첩 된 HTML 요소

HTML 요소는 중첩 될 수 있습니다 (요소에는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

모든 HTML 문서는 중첩 된 HTML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예제에는 네 가지 HTML 요소가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DOCTYPE html>

<html>

<body>

 

<h1>My First Heading</h1>

<p>My first paragraph.</p>

 

</body>

</html>

 

 

설명

<html>요소는 전체문서를 시작태그 <html> 와 종료태그</html>이며

<html>요소안에 <body>가 있으며 <body>는 문서 본문을 <body>와 </body>로 감싸고있으며

<body>의 내부요소는 두개의 <h1> <p>요소가 존재한다 <h1>요소는 제목을 <p>요소는 단락을 정의하고있다.

 

 

 

●빈 HTML 요소

 

내용이없는 HTML 요소를 빈 요소라고합니다.

<br>닫는 태그가없는 빈 요소입니다 ( <br> 태그는 줄 바꿈을 정의 함).

 

빈 요소 태그는 <br />와 같이 시작 태그에서 "닫을"수 있습니다. 

 

 

●대소 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HTML

HTML 태그는 대소 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P>는 <p>와 동일합니다.

HTML5 표준에는 소문자 태그가 필요하지 않지만 소문자를 권장 하며 XHTML과 같은보다 엄격한 문서 유형에는 소문자(알맞은 문법)을 요구 합니다.

 

728x90
728x90

<h> 태그 : 제목을 사용할떄 쓰이는태그   h1 h2 h3 ~ h6태그까지 존재

 

<br>태그 : 줄바꿈 태그

 

<p> 태그 : 문단을 나눌때 쓰이는 태그 

 

<img> 태그 : 이미지를 삽입태그

 

<burron>태그 : 버튼 태그

 

<ul> 태그 : 정렬되지 않는 목록 태그 ● 로 정렬됨

<ol> 태그 : 숫자로 정렬된 태그 1. ~~ 2.~~ 로 정렬됨

<li> 태그 : ul태그나 ol태그 안에 정렬할 리스트들을 적는 리스트태그

 

 

 

HTML 단락

HTML 단락은 <p>태그 로 정의됩니다 .

 

HTML 링크

HTML 링크는 <a>태그 로 정의됩니다 :

링크 대상이 href속성에 지정되어 있습니다.

 

 

HTML 이미지

HTML 이미지는 <img>태그 로 정의됩니다 .

소스 파일 ( src), 대체 텍스트 ( alt) width, 및 height속성으로 제공됩니다.

 

HTML 버튼

HTML 버튼은 다음 <button>태그 로 정의됩니다 .

HTML 목록

HTML 목록은 <ul>(정렬되지 않은 / 글 머리 기호 목록) 또는 <ol>(순서 / 번호가 매겨진 목록) 태그와 <li> 태그 (목록 항목)로 정의됩니다.

728x90
728x90

HTML언어학습을 통해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제작할수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언어중에 가장 간단하며 직관적인 언어라 첫번째언어로 많이 학습을한다.

 

<HTML 특징>

 

HTML은 웹 페이지의 표준 마크 업 언어입니다.

HTML을 사용하면 자신의 웹 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HTML은 배우기 쉽습니다-

HTML은 태그< > </>로 감싸준다는 특징을 지니고있다.

 

 

 

 

 

<HTML의 기본구조 이미지화>

 

 

 

그렇다면 BODY태그안에 직접 <h1>태그, <p>태그, <p title ="~~~">  </p>태그,  <br>태그를 사용하면서 직접 느껴보고 배워보자.

 

직접 해보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HTML 태그는 일반적으로 올 쌍으로 같은 <p>과</p>
  • 쌍의 첫 번째 태그는 시작 태그이고 두 번째 태그는 종료 태그입니다
  • 종료 태그는 시작 태그처럼 작성되지만 태그 이름 앞에 슬래시가 삽입됩니다.

 

<h1>태그는 굵은글씨 즉 제목을 작성할떄 쓰이는 태그이다 <h1> <h2> <h3> ... 등등 태그가 존재하며 글씨가 점점작아진다.

<p>태그는 문단은 나눌때 쓰이는 태그이다 가장 흔한 태그.

 

<p title="" >태그는  p태그로 감쏴진 텍스트에 마우스를 올릴경우 " " 로 주석이 나오게된다.

<br>은 띄어쓰기 

 

728x90
728x90

이더리움 개요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으로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하였다.. 이더리움은 원래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의 초기모델입니다. 즉 이더리움의 부모님이 이더리움 클래식 이지만, 이더리움 클래식의 경우 이더리움에 비해 부족한점이많아 많이 밀린추세입니다.

 

이더리움은 개발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이더리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나 분산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dapp 디앱 이라고합니다) 특히 트랜잭션 형식, 상태변환 함수 등을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가상화폐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의 채굴의 방식의 경우 비트코인과 마찬가지고 컴퓨터 파워를 이용하여 채굴기를 통해 채굴하는 구조입니다.

즉 전기 + 채굴기 => 이더리움코인   이라는 구조를 가지게되고 이렇게 채굴된 이더리움은 꽤 높은가치(글작성기준25만원)

 

하지만 2020년 올해여름 이더리움2.0 '페이지0' 이 진행되면서 이더리움의 채굴방식이 바뀐다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트레젝션에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일정수량의 이더리움을 보상해주는 방식으로 바뀝니다.

이더리움을 32개를 가지고 트레젝션에 참여하면 한달에 약 0.1개?(채굴량은 아직 정확히모르겠습니다) 이런식으로 보상을 주게됩니다.  
 

이더리움은 익명성 무국경성, 탈중앙성, 분산 네트워크, DDoS 차단, 분할성 투명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른 블록체인과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추가적으로 ‘플랫폼을 통한 응용성’과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특별한 기술이 적용되어 시장에서 굉장히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

현재 이더리움코인의 경우 한국내 거래소 빗썸 업비트 등 다양한 거래소에서 구입하실수있습니다.!

 






728x90
728x90

 

 

 

 

[코드]

 

def file_2():
    #도로명 개수출력
    rdic = dict()

    ffile = ent.get()
    myfile = open(ffile,"r")

    for line in myfile:
        items = line.split("|")
        rdic[items[3]] = rdic.get(items[3],0)+1
    myfile.close()
    print("시군구별 도로명개수")

   #    print(name,rdic[name]) name,rdic[name]
    for name in sorted(rdic):
        메모.insert(END,name)
        메모.insert(END,rdic[name])
        메모.insert(END,"\n")
    

#def

#저장
def f_save():
    f_name = "결과"+ent.get()
    fhand= open(f_name, "w")
    fhand_txt = 메모.get("1.0",END)
    fhand.write(fhand_txt)
    fhand.close()




win = Tk()

ent=Entry(win)
ent.grid(row=0,column=0)

b_open = Button(win,text='열기',width=10,command=f_open)
b_open.grid(row=0,column=1)

처리1 = Button(win, text="처리1",width=10,command=file_1)
처리1.grid(row=0,column=2)

처리2 = Button(win, text="처리2",width=10,command=file_2)
처리2.grid(row=0,column=3)

저장 = Button(win, text="저장",width=10,command=f_save)
저장.grid(row=0,column=4)

메모  = Text(win)
메모.grid(row=1,column=0, columnspan=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from tkinter import *

def f_save():
    f_name = "결과"+ent.get()
    fhand = open(f_name,"w")
    fhand_txt = txt.get("1.0",END) #txt.get("1.0",END) 1부터 끝까지 모두불러올거야 ㅡㅡ
    fhand.write(fhand_txt)
    fhand.close()



def f_open():
    memo=ent.get()
    fhand=open(memo,"r")
    txt.insert(END,fhand.read())
    fhand.close()
    
    




win = Tk()

ent=Entry(win,width=75)
ent.grid(row=0,column=0)

but1 = Button(win,text="열기",command=f_open)
but1.grid(row=0,column=1)

but2= Button(win,text="저장",command=f_save)
but2.grid(row=0,column=2)

txt=Text(win)
txt.grid(row=1)

728x90
728x90

shopping = dict()

while True:
    item = input("구매 품목 : ")

    if item =="":
        break

    price = int(input("가격 : "))
    num = int(input("개수 : "))

    if item in shopping:
        print("이미 구매한 품목입니다.")
    else:
        shopping[item] = [price, num, price*num]

total =0

for key,value in shopping.items():
    print("%s %d원 x %d 개 = %d원 "%(key,value[0],value[1],value[2]))
    total = total +value[2]

print("총지불액"  ,total)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