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swapcase() = s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모두 바꿈

s.capitalize() = 첫글자 대문자로출력

s.title() = 각문단마다 첫글자는 대문자로 출력

빈칸안에 들어갈것은 lower() 

 

 

 

 

실행결과 >>>

['짜짱', '짬뽕', '탕수육']
['서울', '대전', '', '대구', '부산']
서울 찍고 대전 찍고  찍고 대구 찍고 부산 찍고 

 

대._.한._.민._.국
서울찍고 대전찍고 대구찍고 부산

 

첫번째는 문자열 "대한민국"이라서 각 문자열의 문자마다 join을 써서  문자사이사이 ._. 가 들어가지만

두번째는 ->를 리스트 형식으로 만들어서 "찍고".join(city)를 입력하여 리스트의 각리스트마다 찍고를 출력함

 

month 는 정수형 + "월"은  => 정수형 + str(문자) 이므로 연산이 되지아니한다.

따라서 + 를 , 로 바꿔주어야한다.

 

print(month,"월",day,"일은",anni,"이다")

728x90
728x90

실행결과 :

촬영 날짜 : 12월 24일
10 48
jpg

 

* [ : ] 슬라이스 이해가 중요

실행결과>>

월수금일

일토금목수화월

 

***[2::] = [2:] 똑같이 수목금토일 출력됨

***[-1::] 일출력 == [-1:] 일출력

len(s) 문자열 s의 길이를 정수로 출력

s.find("o") 문자열s에서 "o"가 몇번째(첫o) 인덱스에 있는지 출력

s.rfind("o") 문자열s에서 "o"가 몇번째(마지막) 인덱스에 있는지 출력

s.index 도 find랑 같은거같은데 차이점을 모르겠음

s.count 해당문자열에서 문자의 개수세기

4번의경우 정답은

print( s.startswith("python") ) 입니다

 

빈칸에 들어갈것은 빈칸에 들어갈것은 isdecimal , isdigit , insumeric 셋중하나

728x90
728x90

전역변수

 

지역변수

 

전역변수는 main함수에서 어떠한 변수를 정의할경우 그 변수는 다른 함수에서도 똑같은 변수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메인함수가아닌 사용자가 함수를 정의하여 만든 함수안에서 변수를 정의할경우 변수를 정의한 그함수안에서는 

 

잘 작동되지만 main함수에서는 그 변수가 없는값이 되버립니다.

 

이렇게 모든 함수에서 사용이 가능한변수를 전역변수, 일정 지역,(일정함수) 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변수를 전역변수라고합니다

 

그렇다면 지역변수를 만들지만 이 지역변수를 전역변수처럼 이용하고싶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바로 global 함수를 이용하면됩니다.

type() 함수

 

어떠한 변수의 타입을 알고싶을때 사용하는함수입니다

 

print(type(1))

print(type([1,2,3])) 

print(type(True))

print(type("1"))

 

>> int

list

bool

str

 

이 출력됩니다.

 

 

어떠한 변수의 타입을변경하고싶을때는

 

str(변수)

 

float(변수)

 

int(변수) 

 

이런식으로 쉽게 변경할수 있습니다.

 

또한 파이썬의 경우 아스키코드를 이용하여 min 함수와 max함수를 제공해줍니다 c언어와는다르게

len과 같은 여러함수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해줍니다.

※ sum(1,2)틀린문법

※ sum([1,2]) 맞는문법

 

728x90
728x90

함수란 명령어들의 묶음이라고 정의합니다

 

만약 하나의 py 파일안에서 각각 필요에따라 어떠한기능이 여러번 필요할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입력한 a,b,c 라는 세 정수의 평균을 구할경우 항상 abc를 더한다음 3으로 나눌수는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 함수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요

 

함수를 정의하여 마치 블럭처럼 필요에 따라 함수의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쓰고싶을떄 쓰는것입니다.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실행할 목록들

    리턴값~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def hello(): 를통해 함수를 정의한다음 hello함수는 안녕하세요를 출력합니다

그다음 메인함수에서는 hello함수 시작을 출력한다음 hello함수를 호출하여 안녕하세요가 출력되는것입니다.

 

그렇다면 매개변수는 무엇일까요?

 

매개변수란 인자라고도 부르며 인수라고 부릅니다

 

메인함수에서 어떠한값을 넘겨주고 해당함수에서 값을받는것이 매개변수입니다.

 

매개변수는 한개이상 여러개일수도있고 없을수도있습니다.

 

(if = "" 띄어쓰기 거짓 , 공백x 참)

 

 

 

이것이 return 값을 이용한 덧셈함수입니다.

리턴값은 두개일수도있습니다

 

return m,r 

 

a,b = add(25,50) 이런식으로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