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딕셔너리의 가장큰 특징은{}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져있다는점이다.

딕셔너리의 키값으로 리스트사용은 불가능하지만

value에 리스트를 사용할수는있음

1) 딕셔너리 변수만들기

딕셔너리 명 = {kye:값 , key:값} 이런식으로 변수를 만들면된다

ex) basket = {'apple':3 ,'orange':5 } 

    backet = dict()

basket = { }

 

예제 )  

class = {"1반":26 , "2반":30}

print(class)

 

 

2) 딕셔너리 key 이용하기

 

딕셔너리명 {key: 값 , key: 값} 을 정의하셨다면

호출방법은 

print(딕셔너리명[key] ) 를 이용하면된다

만약 딕셔너리의 모든키값에 해당하는 value값을 출력하고싶다면

 

for key in 딕셔너리명: 

반복문을 이용하면된다. 딕셔너리에서 반복문을이용할경우 key값을 첫번째부터 끝까지 한바퀴 돈다

즉 key 값만 반복되므로 반복문블록 안에다가 

print("키 =" , key  , "값= " , 딕셔너리명[key] ) 이런식으로 하면 될것이다

 

3) 딕셔너리 값(value) 참조하기 - get() , setdefault()

 

get() 메소드를 사용하면 key에 해당하는 value를 가져올수있다

print(딕셔너리명.get("키") 만약 해당하는 키가없을경우 None 을 반환합니다. 

print(딕셔너리명. get("키",0) ) 을입력할경우 해당하는 키가없을경우 0을 반환합니다. ***키를 만드는게아니라 반환하는것입니다.

 

4) keys() values() items()

 

 

 value값은 변경가능!

 

5)딕셔너리 정렬

sorted 이용

 

fruit = sorted(b)

print(fruit) # 키값들만 출력됨

 

num = sorted(b.values())

print(num) # 벨류값들만 정렬됨

 

=========================

이정도면 자료구조의 기본개념은 정리되었고

 

문제와 반복으로 실력을 쌓아보자!

728x90

+ Recent posts